DNS란?
도메인 네임 시스템(Domain Name System, DNS)은 호스트의 도메인 이름을 호스트의 네트워크 주소로 바꾸거나 그 반대의 변환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위키백과에서는 DNS를 이렇게 설명하고 있다.
예를 들면 우리가 자주 접하는 naver.com , google.com 모두 DNS을 가진 DN(Domain Name)이라고 할 수 있다.
이들은 사실 문자열의 탈을 쓴 IP라고 볼 수 있다.
cmd에서 구글과 naver의 DN을 적어 ping을 확인해 보자
보다시피 google.com 의 IP 주소는 172.217.161.174
naver.com의 IP 주소는 210.89.164.90 각각 확인할 수 있다.
(naver.com에서는 ping을 받아오는걸 실패했는데, 네이버에서 막아놨다고 한다.)이렇게 DN을 통해 자기 컴퓨터가 사이트의 어느 IP 주소로 연결 되는지 확인 할 수 있다. (자신과 가까운 DNS서버를 통해 IP주소를 받아온다.)
DNS의 작동원리
아래는 그림은 DNS가 어떻게 작동하는지 보여준다.
1.웹 브라우저에 www.naver.com을 입력하면 먼저 Local DNS에게 "www.naver.com"이라는 hostname"에 대한 IP 주소를 질의하여 Local DNS에 없으면 다른 DNS name 서버 정보를 받음(Root DNS 정보 전달 받음)
Root DNS란?
Root DNS(루트 네임서버) 는 인터넷의 도메인 네임 시스템의 루트 존이다. 루트 존의 레코드의 요청에 직접 응답하고 적절한 최상위 도메인에 대해 권한이 있는 네임 서버 목록을 반환함으로써 다른 요청에 응답한다. 전세계에 961개의 루트 DNS가 운영되고 있다.
2.Root DNS 서버에 "www.naver.com" 질의
3.Root DNS 서버로 부터 "com 도메인"을 관리하는 TLD (Top-Level Domain) 이름 서버 정보 전달 받음
4.TLD에 "www.naver.com" 질의
5.TLD에서 "name.com" 관리하는 DNS 정보 전달
6."naver.com" 도메인을 관리하는 DNS 서버에 "www.naver.com" 호스트네임에 대한 IP 주소 질의
7.Local DNS 서버에게 "응! www.naver.com에 대한 IP 주소는 222.122.195.6 응답
8.Local DNS는 www.naver.com에 대한 IP 주소를 캐싱을 하고 IP 주소 정보 전달
TLD의 구조는 어떻게 구성되어 있을까?
최상위 ICANN 아래에 REGISTRY, NIC이 있고 REGISTRY 아래에 우리가 흔이 보는 gTLD 그리고 new gTLD가 있고 NIC아래에는 공공사이트에서 쓰는 ccTLD 도메인 주소가 있다.
1. 도메인은 알았는데 도메인 이름(domain name)은 뭐지?
도메인이 인터넷의 주소( IP지만 도메인 역시 주소로 생각할 수 있으니 여기서는 주소라고 표현하겠습니다.) 이라면 도메인의 구성 요소에도 각자 이름이 정해져 있다.
https://www.google.com
https://naver.com
https://www.google.co.kr
위 주소는 구글과 네이버의 주소이다. 이 주소들은 자세히 보면 dot으로 구분되어져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google을 예시로 들어보면 www / google / com 이 모두 dot(점)으로 구분되어져 있는데 이는 오른쪽부터 각각 1,2,3단계로 구분되어 있다. 그리고 1단계에서 3단계로 갈수록 도메인의 범위가 작아지게 된다.
2. Domain Name 3단계
2-1 어? 그럼 www.google.com은 3단계 도메인 이름으로 이루어져 있는거야?
아니다. www.의 경우 도메인 이름에 포함되지 않는 '호스트 명' 이다. 따라서 www.google.com의 경우 총 2단계의 도메인 네임으로 이루어져 있음을 알 수 있다.
2-2 www.google.co.kr은 뭔데?
이 주소도 같은 구글의 주소이다. 차이점은 com과 co.kr의 차이인데 전자의경우 최상위 도메인(.com & .net & .org등)인 .com을 사용한것이고 후자의 경우 국가 정책에 따른 국가 최상위 도메인을 사용한 것이다. 쉽게 말하면 우리나라 인터넷 환경에서 google.com으로 접속시 자동으로 google.co.kr로 접속되는 것이다.
- 1단계 : 국가도메인(kr)
- 2단계 : 도메인의 성격(해당도메인이 사업체의 도메인이라는 것을 알려주는 co)
- 3단계 : 도메인 네임을 등록하는 사람이 원하는 이름
이렇게 총 3단계로 이루어진 것이다.
서로 다른 집이 같은 주소를 가질 수 없듯이 도메인 역시 전 세계에서 유일하게 존재해야 하므로 도메인 네임이라는 규칙이 존재하게 된 것이고 이는 사용자가 임의로 변경 및 생성이 불가능하다. 모든 도메인은 Root 도메인(최상위 도메인) 과 이하에 역트리 구조를 가진 계층적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1단계 도메인 or Root Domain 을 우리는 TLD(Top-Level Domain)이라 하고 2단계 도메인을 SLD(Second-Level Domain)이라고 부른다..com, .net과 같은 TLD는 등록 요건을 갖춘 후 2단계에 원하는 이름을 바로 사용할 수도 있으며 국가 정책에따라 2,3단계를 거쳐 도메인을 설정할 수 있다.
'네트워크 > 네트워크 관련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터넷 속도가 원래 속도로 안 나올때(ex. 1기가로 안나옴) (0) | 2024.09.24 |
---|---|
C타입 광신도의 USB 버전별 특징 정리 (0) | 2024.09.21 |
비싼 요금제 써도 똑같은 속도일 수 있는 이유 (0) | 2024.09.15 |
네트워크에 대한 전반적인 기초 지식 정리 (0) | 2024.08.14 |
인터넷(Internet) 역사 (0) | 2024.08.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