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 저녁, 공부를 마무리하면서 제출해주세요. 하루에 1%씩만 나아가도 4개월 동안 쌓이면 꽤 덩치가 커진답니다 :)
[TIL을 쓰는 이유] 1. 스스로 어제보다 한 발 더 나아갔다는 것을 자각하기 2. TIL을 쓰기 위해서라도, 오늘 반드시 단 하나라도 배우기 3. 꾸준히 기록을 남기는 습관 가지기
알고리즘 코드카타
물론입니다! 주어진 두 정수 num1과 num2가 같으면 1을 반환하고, 다르면 -1을 반환하는 함수를 Java로 작성해 보겠습니다.
문제 해결 방법
num1과 num2가 같은지 비교합니다.
같으면 1을 반환하고, 다르면 -1을 반환합니다.
Java 코드
public class Solution {
public int solution(int num1, int num2) {
// 두 수가 같으면 1을 반환, 다르면 -1을 반환
return num1 == num2 ? 1 : -1;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olution sol = new Solution();
// 테스트 케이스
System.out.println(sol.solution(2, 3)); // -1
System.out.println(sol.solution(11, 11)); // 1
System.out.println(sol.solution(7, 99)); // -1
}
}
코드 설명
solution 함수:
num1과 num2를 비교합니다.
num1 == num2 조건이 참이면 1을 반환하고, 거짓이면 -1을 반환합니다.
main 함수:
solution 함수를 테스트하기 위해 다양한 테스트 케이스를 제공합니다.
입출력 예
예1: num1이 2이고 num2가 3이므로 다릅니다. 따라서 -1을 반환합니다.
예2: num1이 11이고 num2가 11이므로 같습니다. 따라서 1을 반환합니다.
예3: num1이 7이고 num2가 99이므로 다릅니다. 따라서 -1을 반환합니다.
이 Java 코드를 통해 주어진 두 정수가 같으면 1을, 다르면 -1을 반환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SQL 코드카타
주어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ANIMAL_INS 테이블에서 동물 보호소에 들어온 동물의 수를 조회하는 SQL 쿼리를 작성하겠습니다.
문제 해결 방법
COUNT 함수를 사용하여 테이블에 있는 행의 수를 세면 동물 보호소에 들어온 동물의 수를 알 수 있습니다.
SQL 쿼리
SELECT
COUNT(*) AS count
FROM
ANIMAL_INS;
쿼리 설명
SELECT 문:
COUNT(*) AS count를 사용하여 ANIMAL_INS 테이블의 모든 행을 세고, 이를 count라는 별칭으로 출력합니다.